Story

기계 설계,기구 설계, 금형 설계

designpaper 2024. 9. 12. 09:15

기계 설계, 기구 설계, 금형 설계의 구분

제조업 전반에 대한 얘기가 아니고 본인이 경험한 범위에서의 얘기라서

읽는 분의 주변 상황과 다를 수 있습니다.

 

기구 설계를 하는 입장에서 기계의 범위는 우리 일상의 대부분에 걸쳐

직, 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습니다.

손으로 만질 수 있는 것 중에 제조업, 그중에서도 기계에서 만들어지지 않은 것이

얼마나 있을까요.

지금 손 앞에 있는 키보도, 눈앞에 모니터 앉아 있는 의자 등

주변 거의 모든 것이 누군가 설계하고 제조해서 나온 결과물입니다.

 

기계 분야에서 설계 직종의 차이에 대해 간략히 얘기해 보겠습니다.

 

보통 기계 관련 학과를 전공으로 관련 기초 지식들을 공부할 것이고,

이를 기반으로 세분화된 직종에서 실무 경험을 쌓게 될 것입니다.

실무에서 어떤 설계를 하느냐에 따라 주로 요구되는

기술의 범위가 다를  수 있습니다.

 

- 기계 설계

자동차 설계(엔진, 제동, 차체 등 세분화)

자동화 기계설계(공장 자동화 설비 등)

포장기계, 중장비, 건설 기계 등

주로 금속 재료를 공작 기계로 가공하여 사용하고

주문 제작이나 상대적으로 소량 생산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기구 설계

휴대폰, 가전제품, 조명, 생활용품, 의료기기 등 제품의 설계

대체적으로 대량 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고

대량 생산을 우해 결정된 소재에 따라 금형을 사용해 동일한 부품을 대량 제조하며,

부품은 플라스틱, 금속 판재, 비철 금속 합금 등의 소재를 사용합니다.

 

기계 설계와 기구 설계에 구분을 명확히 하기는 힘들고

다소 겹쳐진 분야도 있는 것 같습니다.

 

-  금형 설계

기구 설계의 결과물 중 일부의 부품을 대량으로 만들어 내기 위해

금속으로 만들어진 틀인 금형을 만드는데 그 구조와 형태를 설계합니다.

부품이 플라스틱이면 사출 금형, 철판이면 프레스 금형

비철 금속 합금이면 다이캐스팅 금형이라 하고 각각의 특성에 맞는

설계가 필요합니다. 이외에도 고무금형, 목형 등이 있습니다.

 

이 글을 쓰게 된 이유 중 하나는 기구설계를 하는 저에게 박스 제작을 위한

칼선 도면을 요청한 경우가 있어서 설계를 하고 도면을 작성한다고 해서

모두 다 할 수는 없다는 얘기를 하고 싶어서입니다.

 

각 분야에서 설계를 한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은 그 분야에서

누적된 경험이 있다는 얘기죠. 경험치에 따라 신뢰도의 차이도 있을 수 있고요

 

만일 기구 설계자가 어떠한 이유로 금형 설계로 직종을 바꾸고,

설계를 한다고 말할 수 있으려면 어느 정도 경험이 쌓여야 합니다.

 

설계는 끝이 아니고 시작입니다.

설계 대로 부품 제작, 조립, 기능확인, 검토, 개선 등

제품 단종까지 손 떼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기구 설계라는 분야에서도 소속된 회사와 개발하는 제품에 따라서

관련된 범위 이외의 내용은 잘 모를 수 있습니다.

산업용 장비 설계를 주로 한 사람은 플라스틱 소재 부품 설계나

금형을 이용한 생산에 적합한 설계인지 모를 수 있습니다.

 

개인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 글이니 하나의 견해로 참고만 하시면 됩니다.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chanical design  (4) 2024.09.09
Magsafe cradle  (0) 2024.09.07